尹 대통령, "부모돌봄서 국가돌봄 전환…늘봄학교, 2026년 초등 전부 혜택"
24.02.05
696c1bf14fa21cbe8c4cfd93cfc84b59029e24fc343df0860693cdc2c26d3f85bde00184161437a541154e979ebe57f539af321f8bb3128e8d59ee8be419bef7

윤석열 대통령은 5일 늘봄학교 현장을 찾아 "'패런츠 케어(parents care·부모 돌봄)'에서 '퍼블릭 케어(public care)', 즉 국가 돌봄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올 상반기 2000개 학교, 하반기에는 전체 학교로 늘봄학교를 확대하고 2026년까지는 초등학교 고학년까지 전부 이런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경기 하남시 신우초등학교에서 '따뜻한 돌봄과 교육이 있는 늘봄학교'를 주제로 아홉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주재했다.

늘봄학교란 학교와 지역사회가 연계해 아침 수업시간 전부터 최장 오후 8시까지 정규수업 이외의 종합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정책이다.

윤 대통령은 "올해부터 전국 모든 초등학교로 확대해서 누구나 이런 기쁨과 기회를 다함께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상반기 2000개 초등학교에서 늘봄학교 시행을 시작해 하반기 전체 초등학교로 확대하고, 2026년까지는 초등학교 전 학년으로 확대되게 하겠다고 설명했다.

부모의 돌봄 부담을 줄여 경제활동 여건을 개선하는 동시에, 아이들이 지역과 무관하게 좋은 환경에서 자라나기 위해서는 사교육보다는 학교의 역할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아이들을 학원으로 계속 데리고 다니려면 비용도 많이 들뿐 아니라 또 마음도 편치 않다. 지역돌봄센터도 여러 곳 둘러봤지만 아무래도 시설이 학교만(보다는) 부족하고, 아이들이 거기서 제대로 즐거운 시간을 보내면서 뭔가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얻기가 대단히 어려운 것을 봤다"고 했다.

이어 "그 짐을 정부가 좀 많이 책임지고 덜어드리겠다"며 "학부모들께서 아이들을 안심하고 맡기고 마음껏 경제사회활동을 하려면 학교돌봄이 꼭 필요하다. '퍼블릭 케어'를 정착시키려면 무엇보다 학교 역할이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이들을 돌보고 케어한다는 것 자체가 교육임을 강조한 윤 대통령은 "음악, 미술, 체육, 댄스, 연극, 합창 또 디지털 활용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아이들 인성과 창의력을 키우겠다"며 "학교 중심으로 대학, 기업, 지자체, 기관 등 지역사회와 협력해 좋은 프로그램이 제공되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겠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 다양한 분야에서 청년들에게 좋은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한 윤 대통령은 각 분야 전문가들의 재능기부도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459개 초등학교에서 늘봄학교 시범사업을 실시한 결과, 올해 예비 학부모 수요조사에서 83.6%가 늘봄학교 참여를 희망했다며 "정부는 전국 모든 초등학교에서 원하면 누구나 이러한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또 추진 속도를 확실히 높이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역과 여건에 맞춰서 이른 아침부터 저녁 8시까지 이런 운영시간을 늘리고, 또 무료 프로그램과 저녁식사 제공 등 부모님들 부담을 덜어드리는 사업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저는 대통령으로서 어린이를 위한 나라, 어린이가 행복한 나라를 만드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다 나서야 한다'는 아프리카 속담을 인용하고 "돌봄을 책임지는 것은 국가지만 지역사회와 국민 전체가 관심을 갖고 함께 뛰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공유하기
광고보고 콘텐츠 계속 읽기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아직 콘텐츠가 없습니다.